대인관계2 송년회와 신년회에 대한 환멸감 인간관계에 대해 의문이 더해가는 요즘이다. 관계라는것의 기준이 도대체 뭘까? 얼마나 자주 만나서 관리해야 하고 과연 그만큼의 가치가 있는 것일까? 사회관계: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인간관계. 사람과 사람 사이에 사회적 행동과 교섭이 거듭됨으로써 생기는 관계 라고 사전에 나온다. 행동과 교섭이 얼마나 거듭되어야 하고, 내게 얼마나 필요한지는 물론 나와있지 않다. 원래도 난 정기적 모임을 좋아하지 않는다. 오랜 친구들을 간만에 만나면 즐겁지만 만날 때마다 같은 추억 얘기만 반복하게 된다. 이 모임이 정기적으로 이어진다 해도, 언제가 언제인지 구분되지 않을만큼 매번 같은 이야기를 할 것이다. 반면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은 감각들을 새롭게 하고 긴장시키지만, 그 구성원이 반복해서 만날 경우 또 대화의 흐름.. 2023. 1. 8. 심리상담_4회차 기록은 왜 이렇게나 귀찮은 걸까나. 상담일지조차 밀려있구나. 이번 상담은 아주 라이트하게 진행됐다. 지난 주 연가로 2일 쉬었고, 주말에 절친을 만나 깊은 대화를 나누어서 그런지 속이 편했다. 그렇다고 말하니 1회차에 진행한 mmti의 성격 검사 결과에 대해 말해보자고 하셨다. 상담실에서 본 나와의 모습과 다른 결과들에 대해 말씀해주셨다. 불안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편으로 나왔다고 하지만 여기서 보는 내 모습은 불안해보이진 않는다고 하셨다. 나 스스로도 평소 불안함은 잘 느끼지 않는 편이라고 했다. 잡생각은 많이 하고 후회도 하지만, 불안이나 걱정을 많이 느끼진 않는다. 검사 결과는 역시 오차없이 나오는 건 아닌가보다. 그 다음은 밖에 보여지는 이미지와 내 스스로의 모습의 괴리감이 너무 크다고 하셨다... 2022. 9. 17. 이전 1 다음